케이싱비트
토층 케이싱 천공시 케이싱 선단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천공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특수 제작된
비트 링을 케이싱 하부에 장착한다.
수직도 확인중인 트랜싯 뷰파인더
천공중 수직도 확인에는 케이싱 천공과정중 트랜싯을 통한 점검, 파일드라이버 장비의
수직도 센서에 의한 모니터링, 그리고 천공후 코덴테스터를 이용한 확인작업 등이 있다.
에어 해머 하부 디테일
암반천공 단계에 투입되는 에어 해머 하부 모습.
비트볼이 촘촘히 박혀있으며, 파쇄된 암반 슬러지는 흡입구를 통해 상부로 배출된다.
천공작업중
좌측의 파일드라이버가 메인 장비이며, 우측의 서비스크레인, 그리고 주변정리를 위한
백호, 슬러지 처리설비, 에어해머를 위한 여러대의 압축기(컴프레서), 철골작업대 등을
볼 수 있다.
코덴테스트 리코더
천공수직도 측정에는 코덴전자의 드릴링 모니터가 사용된다. 센서는 수중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며, 천공홀에는 일반적으로 10여미터 아래에 지하수가 고여있다. 기록지에는 깊이에
따른 천공홀의 벽체상태가 표시된다.
슬러지 제거를 위한 미케니컬 펌프
천공 후 바닥에 고인 슬리지는께끗하게 제거되어야 한다. 압축공기를 활용한 에어서징
방법과 미케니컬 펌프를 투입하여 걷어올리는 두 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트리미관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천공이 완료되고 슬러지가 제거되면 철골기둥을 설치하기 전에 콘크리트 타설이 진행된다.
천공깊이를 고려하여 콘크리트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관을 통한 타설이 되어야
하며, 트레미관 타설공법이라고 부른다.
철골용접검사
PRD공법의 천공작업은 대부분 탑다운공사를 위한 철골기둥을 설치하는 과정이다.
현장에 마련된 철골작업대에서는 용접작업이 진행되며, 용접검사는 주로 Ultrasonic Test
가 적용된다. 이는 시험대상체에 손상을 주지않는 비파괴 시험방법중 하나로써 용접부위에
초음파를 투입과 동시에 브라운관 화면에 용접상태가 형상으로 나타남으로써 검사속도가
빠르고 경제적이다.